티스토리 뷰
공연때 쓰려고 꾸민 페달보드입니다.
특별히 달라진 점은, 루프박스를 장착했다는 점과 코러스/트레몰로를 공간 문제상 Guyatone의 것으로 교체했했다는 점입니다. 가이아톤의 페달들이 바이패스 성능이 그리 좋지는 않지만 공간상의 문제로 어쩔수가 없었습니다. 드라이브 페달은 여전히 튜브존을 중심으로 OD-1을 게인 부스터로 사용하도록 했습니다.
OD-1을 DD-20 바로 옆으로 옮겼는데요, 솔로 부스팅을 할 때 딜레이를 함께 밟아주는 경우가 많아 OD-1과 DD-20의 우측 페달을 한번에 밟을 수 있게 했습니다.
루프박스는 TKI의 것인데요, 보통 루프박스와는 다르게 상호배제 방식으로 선택을 할 수가 있게 되어 있습니다. A를 밟으면 B와 C는 자동으로 꺼지고, B를 밟으면 A와 C가 자동으로 꺼지는 식입니다. 우상단의 토글 스위치가 이렇게 상호배제 방식으로 쓸건지 일반적인 루프로 쓸건지 선택하는 스위치입니다.
배선은 아래와 같습니다.
기타 -> 루프박스 -> DD-20 -> 앰프이렇게 해서 루프박스를 상호배제로 해두면 C 스위치를 밟아서 생톤/코러스/트레몰로 등의 음색을 이용하다가 B 스위치를 밟으면 드라이브 페달들로 전환되기 때문에 편리합니다. 탭댄스를 추지 않아도 된다는거죠. A 스위치를 밟으면 튜너로만 신호가 가기 때문에 조용히 튜닝을 할 수도 있습니다. 딜레이는 항상 켜놓을 수 있게 루프에서 빼서 최종단에 배치했습니다.
루프 A (send) -> 튜너 TU-12H -> 끝
루프 B (send) -> OD-1 -> Tube Zone -> 루프 B (return)
루프 C (send) ->MC3(코러스) -> VT3(트레몰로) -> Phase90 -> 루프 C (return)
배선을 깔끔하게 정리하지 않았는데, 어차피 한번 쓰고 다시 풀어버릴지도 몰라서 대충 놔뒀습니다. 그래도 지금까지 꾸몄던 페달보드 배치 중에는 제일 편리한 것 같습니다.
댓글
공지사항
- Total
- 659,268
- Today
- 25
- Yesterday
- 84
링크
TAG
- 센서
- DIY
- 페달
- SD-1
- 아들네미
- 이펙터
- 트레몰로
- 기타
- 무쏘
- 자전거
- 깁슨
- ZWIFT
- 부스터
- RAT
- 가민
- 페달보드
- 즈위프트
- 킬리
- 펜더
- 파워미터
- 디스토션
- 보스
- Boss
- Keeley
- SG
- Korg
- 오버드라이브
- 무쏘스포츠
- 앰프
- OD-1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글 보관함
- 2022/07 (1)
- 2021/12 (1)
- 2021/04 (2)
- 2021/01 (1)
- 2020/06 (1)
- 2020/04 (1)
- 2020/01 (1)
- 2019/08 (1)
- 2019/06 (1)
- 2019/03 (1)
- 2018/12 (1)
- 2018/11 (2)
- 2018/03 (1)
- 2018/02 (1)
- 2018/01 (1)
- 2017/05 (1)
- 2017/03 (1)
- 2017/02 (1)
- 2016/07 (1)
- 2016/01 (1)
- 2015/10 (1)
- 2015/09 (2)
- 2015/03 (1)
- 2014/12 (1)
- 2014/09 (1)
- 2014/08 (1)
- 2014/01 (1)
- 2013/11 (1)
- 2013/09 (1)
- 2013/08 (2)